728x170
해당 글에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기초 구조가 되는 DDL, DML, DCL, TCL에 대해서 이해를 돕기 위한 글입니다.
1) 데이터베이스(Database)
💡 데이터베이스(Database)란?
-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많은 기업과 조직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를 테이블로 구성하고 이 ‘테이블들 간의 관계’를 정의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 테이블, 행, 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데이터를 쉽게 저장하고 조회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주요 컴포넌트로는 DDL, DML, DCL, TCL이 있습니다
2. 다른 데이터베이스 종류 : NoSQL, In-Memory DB
1. NoSQL(Not Only SQL or Non-relational SQL)
💡 NoSQL(Not Only SQL)이란?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다른 형태의 데이터 저장소를 말합니다. NoSQL은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하고, 대용량의 분산 데이터 처리에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NoSQL은 ‘키-값(Key-Value)', '문서(Document)', '열(Column)', '그래프(Graph)' 등의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조회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참고 ] NoSQL중 Doucmnet DB에 대해 궁금하시면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2. In-Memory DB
💡 In-Memory DB란?
-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전통적으로 디스크 기반의 데이터베이스와 달리, 메모리 기반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빠른 응답 시간과 처리 속도를 보장합니다.
-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때문에 디스크 기반의 데이터베이스보다는 적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며, 주로 트랜잭션 처리나 분석 작업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 [참고] In-Memory DB의 종류
1. Redis
- 인기 있는 In-Memory 데이터베이스로, 키-값 저장소로 사용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캐싱, 세션 관리, 메시지 브로커 등에 사용됩니다.
2. Memcached
- 또 다른 인기 있는 In-Memory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주로 분산 캐싱 시스템으로 사용되며,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향상을 위해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합니다.
3. Apache Ignite
- 분산 In-Memory 데이터 그리드로, 대규모 데이터 처리 및 분석에 사용됩니다. 데이터를 메모리에 보관함으로써 뛰어난 성능과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4. VoltDB
- 실시간 데이터베이스로, 인-메모리 기술을 사용하여 높은 처리량과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합니다. 대규모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3. [참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다른 데이터베이스 비교
분류 | RDBMS | NoSQL | In-Memory DB |
데이터 모델 | 정형화된 데이터 모델 | 비정형화된 데이터 모델 | 정형화된 데이터 모델 |
데이터 스키마 | 정의된 스키마 | 자유로운 스키마 | 자유로운 스키마 |
수평적 확장 | 보통 어려움 | 용이함 | 용이함 |
수직적 확장 | 용이함 | 어려움 | 어려움 |
트랜잭션 | ACID 준수 | ACID 준수하지 않음 | ACID 준수 |
성능 | 대규모 트랜잭션 처리에 적합 | 대용량의 비정형화된 데이터 처리에 적합 | 실시간 처리에 적합 |
가용성 | 일반적으로 높음 | 일반적으로 높음 | 일반적으로 높음 |
데이터 저장 | 디스크 | 디스크 또는 메모리 | 메모리 |
대표적인 제품 | Oracle, MySQL, PostgreSQL | MongoDB, Cassandra, Couchbase | Redis, VoltDB, Apache Ignite |
[ 더 알아보기 ]
💡수평적 확장(Horizontal Scaling)이란?
- 서버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서버의 대수를 늘리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즉, 여러 대의 서버를 추가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로드 밸런싱, 샤딩 등이 있습니다.
💡 수직적 확장(Vertical Scaling)이란?
- 서버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 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즉, 단일 서버에서 더 많은 리소스(CPU, 메모리, 디스크 등)를 추가하는 방식입니다.
💡 ACID란?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을 보장하기 위한 속성으로, 원자성(Atomicity), 일관성(Consistency), 고립성(Isolation), 지속성(Durability)의 약자입니다. 각 속성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원자성(Atomicity)
- 트랜잭션이 자체적으로 일련의 작업 단위로 처리되어야 하며, 이 작업 단위는 모두 성공하거나 모두 실패해야 합니다. 즉, 트랜잭션은 일부만 실행되어서는 안 됩니다.
2. 일관성(Consistency)
- 트랜잭션의 실행 결과는 항상 일관적이어야 합니다. 즉, 트랜잭션을 실행하기 전과 후의 데이터 값은 일관된 상태여야 합니다.
3. 고립성(Isolation)
-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들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트랜잭션들이 서로의 작업을 모르도록 고립시켜야 합니다.
4. 지속성(Durability)
-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을 때, 그 결과는 영구적으로 반영되어야 합니다. 즉, 시스템이 다운되더라도 데이터는 보존되어야 합니다.
2) RDBMS의 주요 컴포넌트-1: 데이터 정의 언어(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정의 언어(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베이스에서 스키마를 정의하거나 수정하고, 테이블, 뷰, 인덱스 등의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거나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 제공하는 SQL 명령어를 사용하여 DDL 작업을 수행합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및 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요약
명령어 | 설명 |
CREATE |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생성하는데 사용 |
ALTER |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수정하는데 사용 |
DROP |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삭제하는데 사용 |
RENAME | 데이터베이스 객체의 이름을 변경하는데 사용 |
TRUNCATE |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는데 사용 |
COMMENT |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대한 주석을 추가하는데 사용 |
2. CREATE
💡 CREATE
-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베이스 내의 객체(테이블, 뷰, 인덱스, 프로시저, 트리거)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SQL문입니다.
-- 데이터베이스 생성
CREATE DATABASE database_name;
--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테이블이름 (
열1 데이터_유형,
열2 데이터_유형,
...
);
-- 인덱스 생성
CREATE INDEX index_name
ON table_name (column1, column2, ...);
-- 뷰 생성
CREATE VIEW view_name AS
SELECT column1, column2, ...
FROM table_name
WHERE condition;
-- 프로시저 생성
CREATE PROCEDURE procedure_name (parameter1 datatype, parameter2 datatype, ...) AS
BEGIN ... END;
-- 트리거 생성
CREATE TRIGGER trigger_name BEFORE/AFTER INSERT
ON table_name
FOR EACH ROW
BEGIN ... END;
[ 더 알아보기 ]
💡 테이블, 뷰, 인덱스, 프로시저, 트리거들을 왜 객체라고 부르는 걸까?
- 객체라고 하는 이유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 뷰, 인덱스, 저장 프로시저 등이 개별적인 개체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객체들은 각각 고유한 속성과 동작을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3. ALTER
💡 ALTER
-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베이스 내의 객체(테이블, 뷰, 프로시저, 트리거 등..)를 ‘수정’하는데 사용되는 SQL문입니다.
-- 데이터베이스 수정
ALTER DATABASE database_name
MODIFY NAME = new_database_name;
-- 테이블 수정
ALTER TABLE table_name
ADD column_name datatype;
-- 뷰 수정
ALTER VIEW view_name AS
SELECT new_column1, new_column2, ...
FROM table_name
WHERE condition;
-- 프로시저 수정
ALTER PROCEDURE procedure_name (new_parameter1 datatype, new_parameter2 datatype, ...);
-- 트리거 수정
ALTER TRIGGER trigger_name INSTEAD OF UPDATE
ON table_name FOR EACH ROW
BEGIN ... END;
💡 [참고] 테이블 수정과 관련된 작업 예시
작업 | ALTER 문 |
열 추가 | ALTER TABLE 테이블이름 ADD 열이름 데이터_유형; |
열 이름 변경 | ALTER TABLE 테이블이름 RENAME COLUMN 이전_열이름 TO 새로운_열이름; |
열 데이터 유형 변경 | ALTER TABLE 테이블이름 ALTER COLUMN 열이름 SET DATA TYPE 새로운_데이터_유형; |
제약 조건 추가 | ALTER TABLE 테이블이름 ADD CONSTRAINT 제약조건_이름 제약조건_유형 (열이름); |
4. DROP
💡 DROP
-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베이스 내의 객체(테이블, 뷰, 프로시저, 트리거 등..)를 ‘삭제’하는데 사용되는 SQL문입니다.
- DROP 문은 주의해서 사용해야 하며, 객체를 삭제하면 해당 객체와 관련된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손실될 수 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 삭제
DROP DATABASE database_name;
-- 테이블 삭제
DROP TABLE table_name;
-- 인덱스 삭제
- DROP INDEX index_name ON table_name;
-- 뷰 삭제
DROP VIEW view_name;
-- 프로시저 삭제
DROP PROCEDURE procedure_name;
-- 트리거 삭제
- DROP TRIGGER trigger_name ON table_name;
5. RENAME
💡 RENAME
-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베이스 내의 객체(데이터베이스, 테이블, 뷰, 프로시저, 트리거 등..)의 ‘이름을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SQL문입니다.
-- 데이터베이스 이름 변경
ALTER DATABASE old_database_name RENAME TO new_database_name;
-- 테이블 이름 변경
ALTER TABLE old_table_name RENAME TO new_table_name;
-- 뷰 이름 변경
ALTER VIEW old_view_name RENAME TO new_view_name;
-- 인덱스 이름 변경
- ALTER INDEX old_index_name RENAME TO new_index_name;
-- 프로시저 이름 변경
ALTER PROCEDURE old_procedure_name RENAME TO new_procedure_name;
-- 트리거 이름 변경
ALTER TRIGGER old_trigger_name RENAME TO new_trigger_name;
6. TRUNCATE
💡 TRUNCATE
-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서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는 데 사용되는 SQL 문입니다. 이를 사용하면 테이블의 모든 행이 삭제되지만, 테이블 자체는 삭제되지 않습니다.
💡 사용예제
- "테이블이름"은 데이터를 삭제할 테이블의 이름을 나타냅니다. TRUNCATE 문을 실행하면 해당 테이블의 모든 행이 삭제되고, 테이블은 여전히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됩니다.
TRUNCATE TABLE 테이블이름;
7. COMMENT
💡 COMMENT
- 데이터베이스 객체(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컬럼, 뷰, 프로시저, 트리거)에 대한 주석을 추가하는 데 사용되는 SQL 문입니다. 주석은 데이터베이스 개체에 대한 설명, 비고, 문서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테이블 주석 추가
COMMENT ON TABLE table_name IS '주석 내용';
-- 컬럼 주석 추가
COMMENT ON COLUMN table_name.column_name IS '주석 내용';
-- 인덱스에 주석 추가
COMMENT ON INDEX index_name IS '주석 내용';
-- 뷰에 주석 추가
COMMENT ON VIEW view_name IS '주석 내용';
-- 프로시저에 주석 추가
COMMENT ON PROCEDURE procedure_name IS '주석 내용';
-- 트리거에 주석 추가
COMMENT ON TRIGGER trigger_name ON table_name IS '주석 내용';
💡 [참고] 뷰 테이블에 대해 궁금하시면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 [참고] FUNCTION과 프로시저에 대해 궁금하시면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 [참고] 아래의 로컬 DB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DDL을 테스트 해 볼 수 있습니다.
3) RDBMS의 주요 컴포넌트-2: 데이터 조작 언어(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조작 언어(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조회, 삽입, 수정, 삭제하는 작업에 사용됩니다. DML은 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 제공하는 SQL 명령어를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1. 요약
명령어 | 설명 |
SELECT |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특정 테이블의 열을 선택하여 결과를 반환합니다. |
INSERT |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새로운 행을 삽입하는 명령어로, 지정된 열에 값을 추가합니다. |
UPDATE |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서 특정 행의 값을 수정하는 명령어로, 지정된 열의 값을 업데이트합니다. |
DELETE |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서 특정 행을 삭제하는 명령어로, 지정된 조건에 맞는 행을 제거합니다. |
MERGE | 두 개의 테이블을 조합하여 새로운 테이블을 만들거나, 기존 테이블의 업데이트, 삽입, 삭제를 수행하는 명령어입니다. |
CALL | 저장 프로시저나 함수를 호출하는 명령어로,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프로시저나 함수를 실행합니다. |
EXPLAIN PLAN | SQL 문의 실행 계획을 분석하여 최적화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명령어입니다. |
LOCK TABLE | 테이블에 대한 잠금을 설정하여 다른 사용자가 해당 테이블을 수정하지 못하도록 하는 명령어입니다. |
2. SELECT
💡 SELECT
-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회’하는 명령어입니다. 특정 테이블의 열 또는 행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SELECT: 데이터 조회 구조
SELECT column1, column2, ...
FROM table_name
WHERE condition;
💡 [참고] SELECT문에서 사용하는 서브쿼리에 대해 궁금하시면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3. INSERT
💡 INSERT
-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하는 명령어입니다. 테이블에 새로운 행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INSERT: 데이터 삽입 구조
INSERT INTO table_name (column1, column2, ...)
VALUES (value1, value2, ...);
4. UPDATE
💡 UPDATE
- 데이터베이스의 기존 데이터를 수정하는 명령어입니다. 특정 테이블의 열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 UPDATE: 데이터 업데이트 구조
UPDATE table_name
SET column1 = value1, column2 = value2, ...
WHERE condition;
5. DELETE
💡 DELETE
-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특정 테이블의 행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DELETE: 데이터 삭제 구조
DELETE FROM table_name
WHERE condition;
6. MERGE
💡 MERGE
- 주어진 조건에 따라 데이터를 삽입, 수정 또는 삭제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입니다. MERGE 문은 주로 조건에 따라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거나 삽입하는 데 사용됩니다.
-- MERGE: 데이터 삽입 또는 업데이트 구조
MERGE INTO table_name
USING (
SELECT column1, column2, ...
FROM source_table
) source
ON (table_name.column = source.column)
WHEN MATCHED THEN
UPDATE SET column1 = source.column1, column2 = source.column2, ...
WHEN NOT MATCHED THEN
INSERT (column1, column2, ...)
VALUES (source.column1, source.column2, ...);
7. CALL
💡 CALL
-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정의된 저장 프로시저, 함수 또는 사용자 정의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명령어입니다.
- 저장 프로시저나 함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고 결과를 반환할 수 있으며, CALL 문을 사용하여 이러한 저장 프로시저나 함수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거나 재사용 가능한 로직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 CALL: 저장 프로시저 또는 함수 호출 구조
CALL procedure_name(parameters);
💡 [참고] CALL을 활용한 예시
8. EXPLAIN PLAN
💡 EXPLAIN PLAN
- 데이터베이스에서 쿼리의 실행 계획을 보여주는 도구입니다. 쿼리를 실행할 때 데이터베이스가 어떻게 작업을 수행하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쿼리의 성능 문제를 식별하고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EXPLAIN PLAN 결과는 트리 형태로 표시됩니다. 루트 노드에서 시작하여 하위 계층으로 내려가는 방식으로 쿼리의 실행 계획을 보여줍니다. 각 노드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테이블 스캔이나 인덱스 스캔, 조인 작업 등이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사용 예시
- 부분에는 분석하고자 하는 쿼리를 입력하면 됩니다.
- EXPLAIN PLAN 결과는 PLAN_TABLE이라는 시스템 테이블에 저장되며, 이를 조회하여 실행 계획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Oracle
EXPLAIN PLAN FOR <your_query>;
-- PostgreSQL
EXPLAIN <your_query>;
💡 PostgreSQL 환경에서 간단한 조회쿼리를 수행했을 때 Seq Scan on tb_code (cost=0.00..14.80 rows=480 width=141) 결과를 출력하였습니다.
💡 [더 알아보기] 결과 값 알아보기
Seq Scan on tb_code (cost=0.00..14.80 rows=480 width=141)
1. Seq Scan
- 시퀀셜 스캔은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 블록을 순차적으로 읽어오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검색합니다. 이는 인덱스를 사용하지 않고 전체 테이블을 스캔하는 방식입니다.
2. cost=0.00..14.80:
- 쿼리를 실행하는 데 소요되는 예상 비용을 나타냅니다. 비용은 쿼리 옵티마이저가 쿼리 실행에 필요한 리소스(시간, CPU, 디스크 I/O 등)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값입니다. 여기서는 쿼리 실행에 걸리는 비용 범위를 나타냅니다.
3. rows=480
- 이 부분은 예상되는 결과 행(row) 수를 나타냅니다. 즉, tb_code 테이블에서 검색되는 행의 수를 의미합니다.
4. width=141
- 이 부분은 결과 행의 평균 너비를 나타냅니다. 즉, 각 행의 평균 크기를 의미합니다.
9. LOCK TABLE
💡 LOCK TABLE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테이블을 잠그는 명령입니다. 테이블이 잠기면 다른 트랜잭션이 테이블에 접근하거나 수정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 테이블에는 공유 락과 배타적 락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락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공유 락은 여러 트랜잭션이 동시에 테이블을 읽을 수 있지만 테이블을 수정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반면에 배타적 락은 다른 트랜잭션이 테이블을 읽고 수정하는 것을 모두 방지합니다.
- LOCK TABLE을 사용하는 목적은 동시에 여러 트랜잭션이 동일한 테이블에서 작업을 수행하되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같은 테이블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여러 트랜잭션의 경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 사용예시
- table_name 자리에 잠그려는 테이블의 이름을 입력하면 됩니다.
- READ와 WRITE는 테이블에 적용할 락의 종류를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READ는 공유 락을, WRITE는 배타적 락을 적용합니다.
LOCK TABLE table_name [READ | WRITE];
4) RDBMS의 주요 컴포넌트-3: 데이터 제어 언어(DCL: Data Control Language)
💡 데이터 제어 언어(DCL: Data Control Language)
-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의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 제공하는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명령어를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 DCL 작업은 데이터베이스의 보안과 권한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 적절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지 않으면 민감한 데이터가 노출될 수 있으며, 잘못된 접근 권한을 회수하지 않으면 보안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DCL 작업을 신중하게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의 역할과 권한을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보안 정책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요약
명령어 | 설명 |
GRANT |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대한 권한을 사용자나 역할에게 부여하는 명령어 |
REVOKE | 사용자나 역할에게 부여된 권한을 취소하는 명령어 |
2. GRANT
💡 GRANT
- 데이터베이스 객체(테이블 또는 뷰 등)에 대한 권한을 사용자나 역할에게 부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명령어는 데이터베이스의 접근을 제어하고, 사용자나 역할이 객체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 특정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나 역할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어떤 수준의 접근 권한을 갖게 될지 정의할 수 있습니다.
- DCL GRANT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여할 권한, 권한을 부여할 객체, 그리고 권한을 부여할 사용자나 역할을 명시해야 합니다.
-- GRANT: 사용자에게 특정 권한을 부여
GRANT privilege_name
ON object_name
TO user_name;
-- 사용자에게 테이블에 대한 SELECT, INSERT, UPDATE, DELETE 권한을 부여합니다.
GRANT SELECT, INSERT, UPDATE, DELETE
ON 테이블명
TO 사용자명;
권한 | 설명 |
SELECT | 데이터베이스 객체에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권한 |
INSERT |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는 권한 |
UPDATE | 데이터베이스 객체의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는 권한 |
DELETE | 데이터베이스 객체에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는 권한 |
3. REVOKE
💡 REVOKE
- 사용자나 역할에게 부여된 권한을 취소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대한 권한을 제거하거나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REVOKE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취소할 권한, 권한을 취소할 객체, 그리고 권한을 취소할 사용자나 역할을 명시해야 합니다.
-- REVOKE: 사용자로부터 특정 권한을 취소
REVOKE privilege_name
ON object_name
FROM user_name;
-- 사용자에게 테이블에 대한 SELECT, INSERT, UPDATE, DELETE 권한을 취소합니다.
REVOKE SELECT, INSERT, UPDATE, DELETE
ON 테이블명
FROM 사용자명;
💡 [참고] 아래의 로컬 DB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DCL을 테스트 해 볼 수 있습니다.
5) RDBMS의 주요 컴포넌트-4: 트랜잭션 제어 언어(TCL: Transaction Control Language)
💡 트랜잭션 제어 언어(TCL: Transaction Control Language)
- 데이터베이스에서 트랜잭션의 원자성, 일관성, 독립성, 지속성을 제어하는데 사용됩니다.
- TCL은 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 제공하는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명령어를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1. 요약
명령어 | 설명 |
COMMIT | 트랜잭션 내에서 수행한 모든 변경사항을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명령어 |
ROLLBACK | 트랜잭션 내에서 수행한 모든 변경사항을 취소하고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명령어 |
SAVEPOINT | 트랜잭션 내에서 특정 지점에 저장점을 설정하는 명령어. 이후 ROLLBACK 명령을 사용하여 설정한 저장점까지 되돌릴 수 있음 |
SET TRANSACTION | 트랜잭션의 특성을 설정하는 명령어. 예를 들어, 격리 수준을 설정하거나 트랜잭션을 읽기 전용으로 지정할 수 있음 |
2. COMMIT
💡 COMMIT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에서 수행한 모든 변경사항을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명령어입니다.
-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일련의 작업을 의미하며, 트랜잭션 내에서 수행한 모든 데이터 변경 작업(INSERT, UPDATE, DELETE 등)은 임시로 보관되고 있습니다. COMMIT 명령어를 수행하는 순간 임시 보관된 트랜잭션이 일괄 적용됩니다.
- 예를 들어, 특정 데이터를 삽입하는 INSERT 문을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수행했다고 가정하였을 때, 이때 COMMIT 명령어를 실행하면 해당 INSERT 문을 통해 삽입한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이후에도 조회나 수정 등의 작업에서 해당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 COMMIT: 트랜잭션을 확정하고 변경사항을 영구적으로 저장
COMMIT;
3. ROLLBACK
💡 ROLLBACK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내에서 수행한 모든 변경사항을 취소하고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명령어입니다.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일련의 작업을 의미하며, 트랜잭션 내에서 수행한 모든 데이터 변경 작업(INSERT, UPDATE, DELETE 등)은 임시로 보관되고 있습니다. ROLLBACK 명령어를 사용하여 트랜잭션 내에서 수행한 모든 데이터 변경 작업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특정 데이터를 수정하는 UPDATE 문을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수행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때 트랜잭션 내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수정된 데이터가 잘못되었다면, ROLLBACK 명령어를 실행하여 해당 트랜잭션의 모든 변경사항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후 데이터베이스는 트랜잭션 이전 상태로 복원되며, 잘못된 수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ROLLBACK: 트랜잭션을 취소하고 변경사항을 이전 상태로 되돌림
ROLLBACK;
3. SAVEPOINT
💡 SAVEPOINT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내에서 특정 지점에 저장점을 설정하는 명령어입니다.
- 저장점은 트랜잭션 내에서 특정 지점으로 돌아가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후 ROLLBACK 명령어를 사용하면 설정한 저장점까지 트랜잭션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 트랜잭션 내에서 중간 단계의 커밋 없이 작업을 분할하고 관리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입니다.
- 예를 들어, 트랜잭션 내에서 여러 개의 데이터 수정 작업을 수행하다가 특정 시점에서 문제가 발생했다면, 해당 문제가 발생하기 이전의 저장점으로 트랜잭션을 롤백하고 다른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 SAVEPOINT: 트랜잭션 내에서 저장점을 설정하여 특정 지점까지만 롤백 가능
SAVEPOINT savepoint_name;
-- SAVEPOINT 사용예시:
SAVEPOINT sp1;
UPDATE table_name
SET column1 = value1
WHERE condition1;
SAVEPOINT sp2;
UPDATE table_name
SET column2 = value2
WHERE condition2;
ROLLBACK TO SAVEPOINT sp1;
4. SET TRANSACTION
💡 SET TRANSACTION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의 특성을 설정하는 명령어입니다.
-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일련의 작업을 의미하며, SET TRANSACTION 명령어를 사용하여 트랜잭션의 격리 수준, 읽기 전용 여부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격리 수준은 동시에 여러 트랜잭션이 동작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통제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데이터베이스는 일관성, 격리성, 독립성, 지속성 (ACID)을 보장하기 위해 격리 수준을 지원합니다. SET TRANSACTION 명령어를 사용하여 격리 수준을 설정함으로써 다른 트랜잭션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 또한 SET TRANSACTION 명령어를 사용하여 트랜잭션을 읽기 전용으로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트랜잭션에 의한 변경사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읽기 전용 트랜잭션은 데이터의 무결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용합니다.
💡 사용구조
- SET TRANSACTION를 통해서 트랜잭션의 격리 수준, 잠금 방식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SET TRANSACTION 문은 트랜잭션의 격리 수준을 SERIALIZABLE, REPEATABLE READ, READ COMMITTED, READ UNCOMMITTED 중에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또한, 트랜잭션의 읽기/쓰기 속성을 READ WRITE 또는 READ ONLY 중에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트랜잭션의 지연 속성을 DEFERRABLE 또는 NOT DEFERRABLE 중에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SET TRANSACTION [ ISOLATION LEVEL { SERIALIZABLE | REPEATABLE READ | READ COMMITTED | READ UNCOMMITTED } ]
[ READ WRITE | READ ONLY ]
[ DEFERRABLE | NOT DEFERRABLE ]
[ [ NOT ] DEFERRED ]
[ [ NOT ] ENFORCED ]
[ [ NOT ] AUTOCOMMIT ]
[ [ NOT ] SNAPSHOT ]
[ [ NOT ] READ ONLY ]
[ [ NOT ] READ WRITE ]
[ [ NOT ] STARTED ]
[ [ NOT ] IN PROGRESS ]
[ [ NOT ] COMMITTED ]
[ [ NOT ] COMMIT ]
[ [ NOT ] ROLLBACK ]
[ [ NOT ] SAVEPOINT ]
[ [ NOT ] WORK ]
[ [ NOT ] TRANSACTION ]
[ [ NOT ] NAME 'transaction_name' ]
[ [ NOT ] ISOLATION LEVEL { SERIALIZABLE | REPEATABLE READ | READ COMMITTED | READ UNCOMMITTED } ]
[ [ NOT ] READ WRITE | [ NOT ] READ ONLY ]
[ [ NOT ] DEFERRABLE | [ NOT ] NOT DEFERRABLE ]
[ [ NOT ] DEFERRED | [ NOT ] NOT DEFERRED ]
[ [ NOT ] ENFORCED | [ NOT ] NOT ENFORCED ]
[ [ NOT ] AUTOCOMMIT | [ NOT ] NOT AUTOCOMMIT ]
[ [ NOT ] SNAPSHOT | [ NOT ] NOT SNAPSHOT ]
[ [ NOT ] READ ONLY | [ NOT ] NOT READ ONLY ]
[ [ NOT ] READ WRITE | [ NOT ] NOT READ WRITE ]
[ [ NOT ] STARTED | [ NOT ] NOT STARTED ]
[ [ NOT ] IN PROGRESS | [ NOT ] NOT IN PROGRESS ]
[ [ NOT ] COMMITTED | [ NOT ] NOT COMMITTED ]
[ [ NOT ] COMMIT | [ NOT ] NOT COMMIT ]
[ [ NOT ] ROLLBACK | [ NOT ] NOT ROLLBACK ]
[ [ NOT ] SAVEPOINT | [ NOT ] NOT SAVEPOINT ]
[ [ NOT ] WORK | [ NOT ] NOT WORK ]
[ [ NOT ] TRANSACTION | [ NOT ] NOT TRANSACTION ]
[ [ NOT ] NAME 'transaction_name' ]
💡 사용 예시
- 트랜잭션의 격리 수준을 SERIALIZABLE로 설정하고, 읽기/쓰기 속성을 READ WRITE로 설정하는 SET TRANSACTION 문의 예입니다
SET TRANSACTION ISOLATION LEVEL SERIALIZABLE
READ WRITE;
오늘도 감사합니다. 😀
그리드형
'DB > 이론 및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Postgres] SERIAL 데이터 타입 이해하기 : Auto Increment Column (0) | 2024.01.23 |
---|---|
[DB/Postgres] 조건식과 연산자: CASE, COALESCE, NULLIF, CAST (0) | 2023.11.15 |
[DB/mongo] Document DB 이해하기 -2 : MongoDB 및 Robo 3T 설치 및 사용예시 (0) | 2023.09.24 |
[DB/mongo] Document DB 이해하기 -1 : MongoDB 이론 및 주요 메서드 (0) | 2023.09.24 |
[DB/Postgres] 뷰 테이블(View Table) 이해하고 활용하기 (0) | 2023.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