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당 페이지에서는 웹 스토리지(로컬/세션 스토리지)에 대해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 웹 스토리지를 이해하기 이전에 쿠키를 이해하고 오시면 좀 더 이해가 쉽게 될 것입니다. 이전에 작성한 쿠키 관련 글입니다.!
1) 웹 스토리지(Web Storage)란 무엇인가?
💡 서버가 아닌 클라이언트 내에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저장소를 의미합니다.
또한 웹 스토리지는 쿠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HTML5에서 추가된 ‘로컬 스토리지 / 세션 스토리지'를 의미합니다.
- 쿠키의 저장구조는 ‘key : value’ 형태의 구조로 저장이 됩니다.
- 웹 스토리지는 모바일은 최대 2.5KB의 용량 제한과 웹 브라우저는 최대 5KB의 용량 제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쿠키(Cookie)는 최대 4KB의 용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 웹 스토리지의 값(value)은 오직 문자열(String) 데이터만 지원합니다.
- 이외의 타입은 String 타입을 파싱 하여서 JSON 혹은 number 타입으로 전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cf. 하단의 예시에 사용방법 포함)
- 쿠키와 다르게 네트워크 요청 시 서버로 저장이 되지 않습니다.
- 서버의 DB에 저장하는 데이터에 비해 중요성이 낮거나 유실되어도 무방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권장합니다.
2) 로컬 스토리지(Local Storage)
1. 로컬 스토리지의 정의
💡 만료기간이 존재하지 않으며 페이지를 변경하거나 브라우저를 닫아도 반 영구적으로 유지되는 저장소를 의미합니다.
- 직접 로컬 스토리지를 초기화(clear)하거나 제거(removeItem)하지 않는다면 만료기간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 페이지를 변경하거나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값은 유지됩니다
- 도메인이 다른 경우에는 로컬 스토리지 공유가 불가능합니다.(하단 예시 참고)
[예시] 다른 도메인의 경우 로컬 스토리지의 공유가 불가능
http://test.com/user라는 URL에 로컬 스토리지 정보를 저장하였다고 가정을 하였을 경우에
http://test2.com/user로 접근하였을 경우 해당 로컬스토리지의 값은 유효하지 않습니다.
[참고] MDN - Window.localStorage
2. 로컬 스토리지의 사용
💡 '로컬 스토리지'에서 사용되는 '메서드'를 확인합니다.
메서드 | 설명 |
setItem(key, value) | 키(key)와 값(value)을 기반으로 저장합니다. |
getItem(key) | 키(key) 값을 기반으로 값(value)을 불러옵니다. |
key(index) | 인덱스(index) 값을 기반으로 값(value)을 불러옵니다. |
removeItem(key) | 키(key) 값을 기반으로 해당 로컬 스토리지를 제거합니다. |
clear() | 로컬 스토리지들을 초기화 합니다. |
length |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 개수를 반환 받습니다. |
[참고] 메서드를 이용한 사용 예제
const controlLocalStorage = () => {
// 구조 분해 할당(Destructuring assignment)을 이용한 메소드 호출
const { setItem, getItem, removeItem, clear, length, key } = localStorage;
// 로컬 스토리지 저장1 - 키(key)와 값(value)을 기반으로 저장합니다.(값을 문자열로 저장)
localStorage.setItem('userId', 'adjh54');
// 로컬 스토리지 저장2 - 키(key)와 값(value)을 기반으로 저장합니다.(값을 Object로 저장)
const userInfoObj = {
userId: 'adjh54',
userAge: 30,
};
localStorage.setItem('userInfoObj', JSON.stringify(userInfoObj));
// 로컬 스토리지 저장3 - 키(key)와 값(value)을 기반으로 저장합니다.(값을 Array로 저장)
const userAddr = ['Seoul', 'Dongjak-gu'];
localStorage.setItem('userInfoArr', JSON.stringify(userAddr));
// 로컬 스토리지 불러오기1 - 키(key) 값을 기반으로 값(value)을 불러옵니다.(String -> String)
localStorage.getItem('userId');
// 로컬 스토리지 불러오기2 - 키(key) 값을 기반으로 값(value)을 불러옵니다.(String -> Object)
JSON.parse(localStorage.getItem('userInfoObj')!);
// 로컬 스토리지 불러오기3 - 키(key) 값을 기반으로 값(value)을 불러옵니다.(String -> Array)
JSON.parse(localStorage.getItem('userInfoObj')!);
// 로컬 스토리지 불러오기 - 인덱스 값을 기반으로 값(value)을 불러옵니다.
localStorage.key(0);
// 로컬 스토리지 삭제 - 키(key) 값을 기반으로 해당 로컬 스토리지를 제거합니다.
localStorage.removeItem('userId');
// 로컬 스토리지 초기화
localStorage.clear();
//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 개수를 반환 받습니다.
localStorage.length;
};
[참고] MDN - Window.localStorage
3) 세션 스토리지(Session Storage)
1. 세션 스토리지의 정의
💡 브라우저의 탭 안에 유효한 저장소이며, 브라우저를 닫는 경우 소멸이 되는 저장소이다.
- 브라우저 탭 안에서만 유효한 저장소입니다.
- 브라우저가 다른 경우 해당 저장소 값은 유효하지 않습니다.
- 같은 도메인이라도 세션이 다르면 접근이 불가능합니다.
[더 알아보기]
💡 세션(Session) 이란?
- 일정 시간 동안 같은 사용자(브라우저)로부터 들어오는 일련의 요청을 하나의 상태로 보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 세션은 쿠키를 기반하고 있지만, 사용자 정보 파일을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쿠키와 달리 세션은 서버 측에서 관리합니다.
+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기 위해 세션 ID를 부여하며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접속해서 브라우저를 종료할 때까지 인증 상태를 유지합니다.
2. 세션 스토리지 사용
💡 '세션 스토리지'에서 사용되는 '메서드'를 확인합니다.
메서드 | 설명 |
setItem(key, value) | 키(key)와 값(value)을 기반으로 저장합니다. |
getItem(key) | 키(key) 값을 기반으로 값(value)을 불러옵니다. |
key(index) | 인덱스(index) 값을 기반으로 값(value)을 불러옵니다. |
removeItem(key) | 키(key) 값을 기반으로 해당 세션 스토리지를 제거합니다. |
clear() | 세션 스토리지들을 초기화 합니다. |
length | 세션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 개수를 반환 받습니다. |
[참고] 메서드를 이용한 사용 예제
const fn_controlSessionStorage = () => {
// 구조 분해 할당(Destructuring assignment)을 이용한 메소드 호출
const { setItem, getItem, removeItem, clear, length, key } = sessionStorage;
// 세션 스토리지 저장1 - 키(key)와 값(value)을 기반으로 저장합니다.(값을 문자열로 저장)
sessionStorage.setItem('userId', 'adjh54');
// 세션 스토리지 저장2 - 키(key)와 값(value)을 기반으로 저장합니다.(값을 Object로 저장)
const userInfoObj = {
userId: 'adjh54',
userAge: 30,
};
sessionStorage.setItem('userInfoObj', JSON.stringify(userInfoObj));
// 세션 스토리지 저장3 - 키(key)와 값(value)을 기반으로 저장합니다.(값을 Array로 저장)
const userAddr = ['Seoul', 'Dongjak-gu'];
sessionStorage.setItem('userInfoArr', JSON.stringify(userAddr));
// 세션 스토리지 불러오기1 - 키(key) 값을 기반으로 값(value)을 불러옵니다.(String -> String)
sessionStorage.getItem('userId');
// 세션 스토리지 불러오기2 - 키(key) 값을 기반으로 값(value)을 불러옵니다.(String -> Object)
JSON.parse(sessionStorage.getItem('userInfoObj')!);
// 세션 스토리지 불러오기3 - 키(key) 값을 기반으로 값(value)을 불러옵니다.(String -> Array)
JSON.parse(sessionStorage.getItem('userInfoObj')!);
// 세션 스토리지 불러오기 - 인덱스 값을 기반으로 값(value)을 불러옵니다.
sessionStorage.key(0);
// 세션 스토리지 삭제 - 키(key) 값을 기반으로 해당 로컬 스토리지를 제거합니다.
sessionStorage.removeItem('userId');
// 세션 스토리지 초기화
sessionStorage.clear();
// 세션 스토리지의 개수를 반환 받는다.
sessionStorage.length;
};
[참고] MDN - Window.sessionStorage
4) 오늘의 결론
쿠키에 이어서 웹 스토리지에 대해서 공부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쿠키와 웹 스토리지를 비교하는 글을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정리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Javascript & Typescript >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클로저(Closure) 이해하기 (0) | 2022.10.03 |
---|---|
[JS] 쿠키 / 웹 스토리지(로컬 / 세션 스토리지) 비교하며 이해하기 (0) | 2022.09.15 |
[JS] 쿠키(Cookie) 이해하기 (0) | 2022.09.09 |
[JS] 스코프(Scope) 이해하기 (0) | 2022.09.01 |
[JS]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CSR),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 이해하기 (0) | 2022.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