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JS] Front-end 간략한 용어집 -2 : 저장소, Node/React
·
Javascript & Typescript/종합
해당 글에서는 Front-end에서 용어들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고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1️⃣ 저장소 1. 쿠키(Cookie) 💡 웹 브라우저 상에 작은 ‘텍스트 파일’로 저장이 되는 만료 기간이 존재하는 저장소를 의미합니다. [사용 예시] 로그인 화면에서 ‘아이디 자동완성’ 기능에 사용 팝업 화면에서 ‘오늘 하루 보지 않기' 기능에 사용 미 로그인 상태에서 ‘장바구니 담기’ 기능에 사용 2. 로컬 스토리지(Local Storage) 💡 만료기간이 존재하지 않고 페이지를 변경하거나 브라우저를 닫아도 반영구적으로 유지되는 저장소를 의미합니다. 사용 예시 로그인 화면에서 ‘자동 로그인' 기능에 사용 3. 세션 스토리지(Session Storage) 💡 브라우저의 탭 안에서만 유효한..
[React] CRA 사용 없이 React/Typescript 개발 환경 구축(with. Webpack/babel)
·
React & React Native/환경 설정 및 구성
해당 글에서는 CRA(Create-React-App)를 사용하지 않고 개발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유합니다. 더불어서 선택적으로 설치해야 할 사항까지 함께 공유합니다. 1) 개발 환경 💡 개발 환경 구축을 위해 이용한 IDE, Package Manager, Package를 정리 한 내용 입니다. 분류 버전 설명 Visiual Studio latest 개발 IDE 툴로 VSCode를 사용하였습니다. node 16.16.0 자바스크립트를 수행하는 용도로 사용하였습니다. yarn 1.22.19 패키지 매니저로 사용하였습니다. react / react-dom 18.2.0 웹 프레임워크 React와 React-dom을 사용하였습니다. typescript 4.8.4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였습니다. webpa..
[JS/Library] Webpack 이해하기 - 1 : 주요 용어
·
Javascript & Typescript/라이브러리
해당 글에서는 Module 번들과 Webpack에 대해 이해하고 webpack에 주요 옵션에 대해서 이해를 목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1) 취지 💡 이전 React 프로젝트를 초기에 구성하고자 할 때 CRA(Create-React-App)를 통하여 프로젝트를 구성하였습니다. 해당 구성을 사용하게 된다면 초기의 webpack이나 babel에 대한 설정이 사전에 구현되어 신경을 쓸 일이 없었습니다. 💡 그런데 직접적으로 webpack을 설정할 필요가 생김에 따라서 이해하고 적용 방안에 대해 알아봅니다. 💡 참고로 CRA 환경에서 webpack과 babel을 구성하는 방법 또한 존재하여 아래에 [참고]로 공유를 합니다 1. [참고] CRA(Creat-React-App)으로 webpack / bable을 구성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