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Java] Spring Boot Cache 이해하고 설정하기 -2 : 사용 및 활용 예시
·
Java/Spring Boot
해당 글에서는 Spring Boot Cache를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해를 돕기 위한 글입니다.  [참고] Spring Boot Cache의 이론과 환경설정 방법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이전에 작성한 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Java] Spring Boot Cache 이해하고 설정하기 -1 : 정의, 환경 설정해당 글에서는 API Cache에 대해서 이해하고 REST API 환경에서 이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작성한 글입니다. 1) 개발환경 구성 💡 개발환경은 MyBatis를 기반으로 RDBMS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캐adjh54.tistory.com   1) 개발환경 구성💡 해당 개발환경은 MyBatis를 기반으로 RDBMS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캐시 처리하는 환경으로 구성하였습..
[Java] Spring Boot Cache 이해하고 설정하기 -1 : 정의, 환경 설정
·
Java/Spring Boot
해당 글에서는 API Cache에 대해서 이해하고 REST API 환경에서 이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작성한 글입니다.1) 개발환경 구성💡 개발환경은 MyBatis를 기반으로 RDBMS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캐시 처리하는 환경으로 구성하였습니다.개발 환경버전java1.8Spring Boot2.7.4빌드관리도구Gradle 7.5개발 툴IntelliJ IDEA 2022.3spring-boot-starter-cache2.7.4mybatis-spring-boot-starter2.2.2  [참고] 이전의 작성한 개발환경에 spring-boot-starter-cache를 추가하여 환경을 구성하였습니다. [JAVA] Spring Boot내에서 MyBatis & PostgreSQL 연동하기해당 글에서는 Sprin..
[Java/Short] 문자열 배열 <-> 정수 배열 변환 방법
·
Java/Short 개발
해당 글에서는 문자열 배열, 정수 배열 간의 캐스팅(형 변환) 방법에 대해서 이해합니다. 1) 문자열 배열을 정수 배열로 캐스팅(String[] → int[]) 1. for문을 이용한 캐스팅 : Integer.parseInt() 💡 배열을 순회하면서 Integer.parseInt()로 캐스팅을 하여서 문자열을 정수형으로 변환하고 새로운 정수형 배열을 구성합니다. String[] stringArray = {"1", "2", "3", "4", "5"}; int[] intArray = new int[stringArray.length]; for(int i = 0; i < stringArray.length; i++){ intArray[i] = Integer.parseInt(stringArray[i]); } // ..
[Java] Lombok 이해하고 적용하기 -2 : 심화 및 적용
·
Java/Spring Boot
해당 글에서는 이전에 작성한 Lombok 환경 설정 및 이해 글에 이어서 Lombok을 활용하여 심화 활용 기능에 대해 확인합니다.   💡 Lombok 설정 및 기초에 대해서 이해하고 싶은 경우 하단의 이전에 작성한 글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Java/Library] Lombok 이해하고 적용하기 -1 : 설정 및 기초해당 글은 Spring Boot 내에 Lombok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작성하였습니다. 1) 적용 개발환경 개발 환경 버전 java 1.8 Spring Boot 2.7.4 빌드관리도구 Gradle 7.5 개발 툴 IntelliJ IDEA 2022.3 2) Lombok 💡 Lombokadjh54.tistory.com  1) 적용 개발환경개발 환경버전java1.8Spring Boot2...
[Java] RESTful API 설계 방법 -2 : 구성하기
·
Java/아키텍처 & 디자인 패턴
해당 글에서는 Restful API의 제약 조건과 설계 방법에 대해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실제 RESTful API를 구성하는 목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참고] 이전에 작성한 Restful API 설계방법의 이론의 글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Java] Restful API 설계 방법 -1 : 이해하기 해당 글에서는 Restful API에 대해서 이해하며 이를 통해 설계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1) REST / RESTful API 💡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란? -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adjh54.tistory.com 1) 테스트 개발 환경 💡 해당 개발 환경에서는 'Spring Boot Starter Web' 라이브러리..
[Java] RESTful API 설계 방법 -1 : 이해하기
·
Java/아키텍처 & 디자인 패턴
해당 글에서는 Restful API에 대해서 이해하며 이를 통해 설계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1) REST / RESTful API 💡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란? -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아키텍처 스타일 중 하나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 방식’을 규정한 것입니다. - 해당 통신 방식은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자원, 행위, 표현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 REST API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란? - REST 아키텍처 스타일에 따라 구성한 API를 의미합니다. 💡 RESTful API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란? - HT..
[Java] UUID 이해 및 사용방법
·
Java/이론 및 문법
해당 글에서는 UUID에 대해서 이해하며 구조를 파악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1)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정의 및 구조 1. UUID 정의💡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란?- 범용 고유 식별자를 의미하며 중복이 되지 않는 유일한 값을 구성하고자 할때 주로 사용이 되는고유 식별자를 의미합니다.- 주로 세션 식별자, 쿠키 값, 무작위 데이터베이스 키 등에 사용이 됩니다.  2. UUID 구조💡 UUID는 16바이트(128비트)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하나의 UUID 길이는 36자리이며 “4개의 하이픈(-)”과 “32개의 16진수 문자열”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구조길이 (바이트..
[Java] Collection Framework(Queue, Stack, Deque)의 인터페이스와 구현체 이해하기 -2 : 정의 및 예시
·
Java/이론 및 문법
해당 글에서는 컬렉션 프레임워크(Collection Framework)내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와 이를 구현하는 구현체 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 이전 Collection Framework로 List, Map, Set 작성한 글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Java] Collection Framework(List, Map, Set)의 인터페이스와 구현체 이해하기 - 1 : 정의 및 예시해당 글에서는 컬렉션 프레임워크(Collection Framework)내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와 이를 구현하는 구현체 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1) 요약 클래스 분류 설명 Map 인adjh54.tistory.com 1) 요약클래스..
[Java] Collection Framework(List, Map, Set)의 인터페이스와 구현체 이해하기 - 1 : 정의 및 예시
·
Java/이론 및 문법
해당 글에서는 컬렉션 프레임워크(Collection Framework)내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와 이를 구현하는 구현체 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1) 요약 클래스분류설명Map인터페이스Key-Value의 쌍을 저장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HashMapMap 인터페이스의 구현체해시 테이블을 사용하여 Key-Value 쌍을 저장합니다.TreeMapMap 인터페이스의 구현체레드-블랙 트리를 사용하여 Key-Value 쌍을 저장합니다. Key 값에 따라 정렬됩니다.LinkedHashMapMap 인터페이스의 구현체해시 테이블과 연결 리스트를 사용하여 Key-Value 쌍을 저장합니다. 삽입 순서대로 출력됩니다.ConcurrentHashMapMap 인터페이스의 구현체HashMap과 유사하지만 ..
[Java/Short] 배열/리스트 값 제거 방법 : 요소 첫번째/마지막 값 제거, 특정 값 제거
·
Java/Short 개발
해당 글에서는 배열의 값들을 앞/뒤의 값을 제거하거나 특정 조건에 따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유합니다. 1) 배열/리스트의 앞뒤 값 비우기 1. 배열의 첫번째 값 비우기 💡 해당 방법에서는 사이즈도 줄이고 배열의 첫 번째 요소를 비우는 방법에 대해서 정의하였습니다. 1.1. 첫 번째 인덱스 0의 값으로 변경 : 배열 사이즈를 유지하면서 첫 번째 값 비우기 💡 첫번째 값을 비우기 위해서 첫 번째 인덱스 값을 가지고 값을 null로 변경하여 사이즈를 유지하면서 첫 번째 값을 비웁니다. String[] strArr4 = {"apple", "banana", "cherry", "berry"}; strArr4[0] = null; // [null, "banana", "cherry", "berry"] 1.2. 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