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Java] Spring Boot Batch 이해하고 설정하기 -1 : 정의 및 이해
·
Java/Spring Boot
해당 글에서는 Spring Boot Batch에 대해서 이해하고 주요 용어인 Job, Step, Tasklet, Chunk에 대해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작성한 글입니다. 1) Spring Boot Batch 💡 Spring Boot Batch 란?-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을 의미하며 이를 ‘자동화’하여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워크를 의미합니다.- Spring Boot Batch 라이브러리로 설치를 하면 ‘스프링 스케줄러’도 함께 사용이 가능합니다.💡 배치 프로그램(Batch Program)이란?-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을 자동화’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 이러한 작업들은 보통 ‘스케줄러’를 이용하여 특정시간에 수행하도록 구성합니다.-..
[Kotlin] 앱 아키텍처 패턴(MVC, MVP, MVVM) 이해하기
·
Kotlin/이해하기
해당 페이지에서는 아키텍처 패턴과 디자인 패턴에 대해 이해하고 Kotlin에서 사용되는 아키텍처 패턴에 대해 이해를 위한 목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1) 아키텍처 패턴 / 디자인 패턴이란? 💡 아키텍처 패턴(Architecture Pattern)이란? -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패턴화 한 것을 의미합니다. - 주어진 문맥 안에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공통적인 발생 문제에 대한 재사용 가능한 해결책을 의미합니다. - 아키텍처 패턴은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과 비슷하지만 더 넓은 범위에 속합니다. ex) MVC Pattern, MVP Pattern, MVVM Pattern,... [출처] 위키백과 - 아키텍처 패턴 아키텍처 패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
[JS] 쿠키 / 웹 스토리지(로컬 / 세션 스토리지) 비교하며 이해하기
·
Javascript & Typescript/이해하기
해당 글에서는 쿠키와 웹 스토리지(로컬, 세션)에 대해서 다시 한번 정리하며 각각을 비교하며 각각의 특징과 사용처에 대해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 해당 글을 읽기 전에 이전에 작성한 ‘쿠키(Cookie)'와 ‘웹 스토리지(Web Stroage)' 관련 글을 이해하고 오신다면 더 쉽게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하단에 이전에 작성한 글입니다. [JS] 쿠키(Cookie) 이해하기 해당 페이지에서는 쿠키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1) 쿠키(Cookie)의 정의와 특징 💡 쿠키(Cookie) 란? - 웹 브라우저 상에 작은 ‘텍스트 파일’로 저장이 되는 만료 기간 adjh54.tistory.com [JS] 웹 스토리지(로컬 스토리지 / 세션 스토리지) 이해하기 해당 페이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