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DB/Postgres] PostgreSQL 데이터 타입의 종류 이해하기
·
DB/API Document
해당 글에서는 PostgreSQL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의 종류에 대해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1) 데이터 타입 💡 데이터 타입 -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정의하는 방법입니다. - 일반적으로 테이블 데이터 타입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기본 데이터 타입을 기반으로 정의됩니다. 각 열에 대해 테이블에 정의된 데이터 타입은 해당 열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유형과 구조를 결정합니다. 1. 데이터 타입 요약 💡 데이터 타입 요약 - PostgreSQL의 데이터 타입은 PostgreSQL 튜토리얼에 나온 내용을 기반으로 진위형, 문자, 숫자(정수, 자동증가 정수, 부동 소수점 숫자), 시간, 배열, json, 기하학, 네트워크 형태로 구분 지었습니다. 데이터 타입 분류 설명 ..
[DB/Postgres] 조건식과 연산자: CASE, COALESCE, NULLIF, CAST
·
DB/이론 및 문법
해당 글에서는 PostgreSQL에서 조건식과 연산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1) 조건식과 연산자(CONDITIONAL EXPRESSIONS & OPERATORS) 💡 조건식과 연산자(CONDITIONAL EXPRESSIONS & OPERATORS) - 데이터를 필터링하거나 쿼리 결과를 제한하는 데 사용됩니다. - 조건식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행만 선택하도록 지정합니다. 다양한 연산자를 사용하여 조건식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 [참고]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연산자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연산자 설명 등호 (=) 값이 같은지 확인합니다. 부정 등호 (!= 또는 ) 값이 같지 않은지 확인합니다. 크다 (>), 작다 (=), 작거나 같다 (= 18 AND ag..
[DB]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구조 : DDL, DML, DCL, TCL
·
DB/이론 및 문법
해당 글에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기초 구조가 되는 DDL, DML, DCL, TCL에 대해서 이해를 돕기 위한 글입니다. 1) 데이터베이스(Database) 💡 데이터베이스(Database)란? -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많은 기업과 조직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를 테이블로 구성하고 이 ‘테이블들 간의 관계’를 정의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 테이블, 행, 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데이터를 쉽게 저장..
[DB/Short] MySQL : 집계함수로 얻은 값을 조건절에서 사용하는 경우 -서브쿼리, HAVING
·
DB/Short SQL문
해당 글에서는 MySQL에서 집계함수로 얻은 값을 조건절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봅니다 💡 [참고] 해당 문제를 참고하였으며, 해당 사용방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머스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programmers.co.kr 1) 예시 확인💡 해당 문제는 아래와 같으며 이를 기반으로 각각 사용하는 경우를 확인해봅니다. 2) 서브쿼리를 이용한 방법💡 서브쿼리를 이용한 방법 - 서브쿼리를 이용하여 결과를 임시로 저장하고 서브쿼리를 조건절에 참조할 수 있습니다. 💡 예시 확인 - 서브쿼리를 이용하여 결과를 임시로 저장(t2)하며 이를 참조하여서 결과를 조건절(WHERE)..
[DB/Short] MySQL: DATETIME ↔ DATE 타입 간의 변환 방법
·
DB/Short SQL문
해당 글에서는 MySQL에서 DATETIME 타입을 DATE 타입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 [참고] 해당 문제를 참고하여 해당 변환방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1) DATE 💡 DATE() 함수 - 날짜 형식의 데이터에서 날짜 부분만 추출하는 함수입니다. 이를 통해 날짜 형식의 데이터에서 연월일 정보만 가져올 수 있습니다. MySQL DATE() Function W3Schools offers free online tutorials, references and exercises in all t..
[DB/Short] MySQL - 문자열 대소문자 구분/구분하지 않고 정렬하기 : BINARY
·
DB/Short SQL문
해당 글은 MySQL에서 정렬을 할 때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정렬하는 방법과 구분하지 않고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서 확인해 봅니다. 1) 문자열을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정렬💡 일반적으로 ORDER BY ~ 문을 사용하는 것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정렬을 하는 방법입니다. 💡 [예시] - 동물 정보 테이블(ANIMAL_INS) 내에 NAME을 기준으로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정렬을 수행합니다.SELECT t1.ANIMAL_ID, t1.NAME FROM ANIMAL_INS t1 WHERE t1.NAME LIKE '%el%' AND t1.ANIMAL_TYPE = 'Dog' ORDER BY t1.NAME; 2) 문자열을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정렬 방법💡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정렬하는 방법은 ‘이진 형태’로 비..
[DB/postgres] 윈도우 함수(Window Function) 이해 및 활용방법
·
DB/API Document
해당 글에서는 데이터베이스 PostgreSQL을 기반으로 윈도우 함수(Window Function)에 대해 알아봅니다.  1) 윈도우 함수(Window Function) 💡 윈도우 함수(Window Function)- 행과 행 간에 비교, 연산, 정의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함수를 의미합니다.- 각 행에 대한 결과를 계산하는 일반적인 집계함수와 달리 ‘행 그룹’에 대한 계산을 수행합니다.- 윈도우 함수는 PARTITION BY 절을 사용하여 윈도우를 정의하고 ORDER BY 절을 사용하여 윈도우 내에서 행의 순서를 지정합니다.- 윈도우 함수를 이용하여 행 그룹 내에 순위를 계산하거나 이동 평균 또는 누적 합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주로 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작성에 유용합니다.  2) 윈도우 함수의 구조..
[DB/mongo] Document DB 이해하기 -2 : MongoDB 및 Robo 3T 설치 및 사용예시
·
DB/이론 및 문법
해당 글에서는 MongoDB를 설치하고 Robo 3T 툴을 이용하여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확인해 봅니다. 💡 MongoDB의 이론에 대해 궁금하시면 아래의 글이 도움이 됩니다. [DB/Mongo] NoSQL(Document DB) 이해하기 -1 : 이론 및 MongoDB 주요 메서드 해당 글에서는 NoSQL에 대해 이해하며 Document DB의 MongoDB에 대해서 이해하고 메서드를 확인해 봅니다. 1) NoSQL 💡 NoSQL이란? - ‘Not Only SQL’ 또는 ‘Non-Relational SQL’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관계형 데 adjh54.tistory.com 1) MacOS 환경에서 MongoDB 설치 💡 공식 사이트의 설치 방법을 참고하여 구성하였습니다. Install MongoDB Co..
[DB/mongo] Document DB 이해하기 -1 : MongoDB 이론 및 주요 메서드
·
DB/이론 및 문법
해당 글에서는 NoSQL에 대해 이해하며 Document DB의 MongoDB에 대해서 이해하고 메서드를 확인해 봅니다. 1) NoSQL 💡 NoSQL이란? - ‘Not Only SQL’ 또는 ‘Non-Relational SQL’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 아닌 다른 형태의 데이터 저장소를 의미합니다. - NoSQL은 대용량 분산 데이터 처리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데이터의 구조적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 더 알아보기 ] 💡 대용량 분산 데이터 처리란? - 매우 큰 데이터 집합을 여러 대의 컴퓨터로 분할하여 처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 이렇게 분산된 데이터를 처리하면 빠른 속도와 높은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대규모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대용량 분산 데..
[DB/Postgres] 뷰 테이블(View Table) 이해하고 활용하기
·
DB/이론 및 문법
해당 글에서는 뷰 테이블(View Table)에 대해 이해하고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1) 뷰 테이블(View Table)💡 뷰 테이블(View Table) -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의 일부 또는 ‘특정 조건에 따라 필터링된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가상 테이블’입니다. - 실제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기존 테이블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쿼리를 실행하여 필요한 정보를 반환합니다. - 이를 통해 데이터의 일부분에 집중하거나 복잡한 쿼리를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의 보안, 효율성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Managing PostgreSQL ViewsSummary: in this tutorial, you will learn about views and how to ma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