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Github] MacOS에서 Github 계정 바꾸는 방법
·
Github/기본 환경설정
해당 글에서는 기존에 연결되어 있는 Github 계정을 바꾸는 방법에 대해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공유합니다. 1) 내 정보를 확인합니다. 💡 Github 홈페이지 - 로그인 - Settings - Account 탭을 누르면 사용자 아이디(username)를 변경할 수 있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터미널에서 Github 계정을 변경합니다. 💡 변경하려는 계정의 이름(username)과 이메일을 로컬 터미널에서 변경합니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 변경된 계정의 이름(username)과 이메일(email)을 확인합니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 git co..
[Github] 인증 오류 해결방법 : support tor password autnentication was remove on August 13, 2021.
·
Github/기본 환경설정
해당 글에서는 Github 작업을 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인증오류에 대해서 해결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유합니다.  1) 문제 발생💡 문제 발생- Github clone 명령어를 수행하다가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발생하였습니다. remote: support tor password autnentication was remove on August 13, 2021. remote: Please see https://docs.github.com/en/get-started/getting-started-with-git/about-remote-repositories#cloning-with-https-urls for information on currently recommended modes of authentica..
[Github] README.md 이미지 파일 변환 및 올리는 방법
·
Github/활용하기
해당 글에서는 README.md 파일 내에 이미지를 올리기 위한 파일 변환 및 올리는 방법에 대해서 공유합니다.  1) 업로드 하려는 이미지 파일을 선택합니다.  2) Gihub 페이지로 이동하여 특정 Repository에 접근하여 ‘Issues’ 탭을 선택하고 ‘New Issue’버튼을 선택합니다.  3) 이미지를 선택하여 Issue 내에 드래그앤 드랍합니다.  4) 이미지를 옮기면 마크업 태그가 생성이 됩니다.  5) README.md 파일내에 해당 태그를 붙여넣습니다.  6) 완료   오늘도 감사합니다. 😀
[Github] Github Actions 이해하기-2 (환경설정, 적용 예시)
·
Github/이해하기
해당 글에서는 이전 용어들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에 이어진 환경 설정 후 적용하는 예시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한 글을 다루고 있습니다. 💡 이전에 작성한 Github Actions 정의 및 주요 용어를 설명하는 글을 읽고 오시면 도움이 됩니다. [Github] Github Actions 이해하기 -1(정의, 주요 용어) 해당 글에서는 CI/CD 중 하나인 Github Actions에 대해서 이해하고 각각의 용어에 대해 이해하는 글을 다루고 있습니다. 1) Github Actions란? 💡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 시 '원하는 일'을 자동으로 수행할 adjh54.tistory.com 1) Github Actions 초기 환경 구성 1.. 적용할Github Repository에 들어가서 'Actions' 탭을 누릅..
[Github] Github Actions 이해하기-1 (정의, 주요 용어)
·
Github/이해하기
해당 글에서는 CI/CD 중 하나인 Github Actions에 대해서 이해하고 각각의 용어에 대해 이해하는 글을 다루고 있습니다. 1) Github Actions란? 💡 GitHub의 기능 중 하나로 특정 '이벤트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는 작업을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를 통해 CI/CD를 구성하여 배포 자동화를 구성하여 버그를 빠르게 해결하여 배포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코드가 커밋되면 코드 빌드 및 테스트를 자동으로 실행하거나 새 코드가 병합되면 새로운 버전을 릴리스하도록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참고] Github Actions 공식 사이트 Features • GitHub Actions Easily build, package, release, update, ..
[Github] 주요 용어 이해하기-1 : 기본 구조(Branch, Repository, clone)
·
Github/이해하기
해당 글의 목적은 Git에 대한 이해를 하고 Git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익힙니다. 그리고 주요한 용어에 대해서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 Git Git은 파일에 대한 변경사항을 추적하여 여러 명의 사용자들 간에 해당 파일들을 조율하기 위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원격 저장소에서 변경 사항에 대한 동작들을 수행한다.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 Server Computer와 개인이 각각 가지고 는 Computer A, Computer B가 존재한다. - ’Server Computer’에서는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 공간을 가지고 있는다. 이와 연결하여 Computer A, B가 연결되었다. - Computer A, B는 각각 로컬에서 개발을 진행..
[Github] Git CLI 명령어 모음집 이해하기
·
Github/이해하기
Git을 관리하는 방법 중 Git CLI(Command Line Inteface)를 통해서 사용되는 명령어에 대해서 알고 이해합니다. 해당 글은 Command 명령어가 무엇이 있고 언제 사용하는지에 대한 설명 글입니다.      1) Git 환경 설정 관련 CLI💡 Git에서 환경에서 사용하는 CLI 명령어분류명령어설명configgit config --list- 모든 Git 설정에 대해 조회합니다.statusgit status- 작업 디렉토리와 스테이징 영역의 현재 상태를 보여줍니다.loggit log- 커밋 기록을 표시합니다.loggit log -n [숫자]- 최신 [숫자]개의 커밋을 커밋 기록에서 보여줍니다.touchtouch .gitignore- 새로운 .gitignore 파일을 생성합니다.   ..
[Github] .gitignore 이해 및 구성 방법
·
Github/이해하기
해당 글의 목적은 Repository에서 소스 작업 이후 Commit & Push를 하는 경우에 특정 ‘파일’ 및 ‘경로’를 제외하여 해당 작업을 진행하고자 할때, gitignore 파일을 사용합니다.이에 대해 .gitignore에 대한 정의와 구성 방법에 대해서 익히기 위한 목적의 글 입니다. STEP1: .gitignore 이해하기 1. .gitignore 정의 해당 프로젝트 내에서 불 필요하다고 느끼는 특정 '파일' 및 '디렉토리 경로'에 대해서 Repository에 올리지 않기 위해서 이 파일들을 무시(ignore)하기 위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gitignore)을 의미 합니다 2. .gitignore에 포함되는 정보 용량이 커서 제외 되어야 할 파일 혹은 디렉토리 경로 Ex) npm / ..
[Github] Tag 및 Releases를 통한 버전관리 방법
·
Github/기본 환경설정
해당 글의 목적은 Github 소스 중에서 일정 Tag를 만들어서 코드 프리징(=Code Freezing)을 하여 추후 소스 배포를 위한 Releases 버전을 구성하는 방법이며, 해당 작성글은 이를 위한 환경설정 부분입니다. 💡 코드 프리징(Code Freezing) - 소스 코드를 더 이상 개발하거나 수정하지 않는 단계를 의미한다. - 대부분 다음 버전의 배포를 위하여 코드 프리징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태그(Tag) 생성하기 해당 필자는 ‘Sourcetree’ 툴을 이용하여서 태그를 생성하는 방식을 서술합니다. 1. [Sourcetree] 태그를 만들려는 구간을 확인합니다 2. [Sourcetree] 해당 구간에서 오른쪽 마우스 키를 누른 뒤, ‘태그...’ 버튼을 누릅니다. 3. [Sour..
[Github] Sourcetree - Github 프로젝트(Repository) 연결 방법
·
Github/활용하기
해당 글의 목적은 형상 관리 툴인 Sourcetree에서 Github Repository를 가져와서 직관적인 UI와 쉬운 소스 관리를 위해서 해당 연결을 진행하며, 해당 작성글은 최초 연결을 위한 환경설정 부분입니다.  1) 사전 준비 사항1. 연결하려는 Repository 확보우선은 받아야 할 소스가 있어야 하므로, 연결하려는 Repository가 준비되지 않으셨다면 아래에 이전에 제가 작성한 글을 토대로 연결을 하고 오시면 될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 Github 연결 방법내가 만든 프로젝트를 Github에 연결하여서 Repository 단위로 관리를 하며, 다른 사람과의 협업을 통해서 소스 관리를 하기 위함이며, 해당 작성글은 최초 연결을 위한 환경설정 부분임. 1. Github Reposadjh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