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Github] Sourcetree - Github 프로젝트(Repository) 연결 방법
·
Github/활용하기
해당 글의 목적은 형상 관리 툴인 Sourcetree에서 Github Repository를 가져와서 직관적인 UI와 쉬운 소스 관리를 위해서 해당 연결을 진행하며, 해당 작성글은 최초 연결을 위한 환경설정 부분입니다.  1) 사전 준비 사항1. 연결하려는 Repository 확보우선은 받아야 할 소스가 있어야 하므로, 연결하려는 Repository가 준비되지 않으셨다면 아래에 이전에 제가 작성한 글을 토대로 연결을 하고 오시면 될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 Github 연결 방법내가 만든 프로젝트를 Github에 연결하여서 Repository 단위로 관리를 하며, 다른 사람과의 협업을 통해서 소스 관리를 하기 위함이며, 해당 작성글은 최초 연결을 위한 환경설정 부분임. 1. Github Reposadjh54..
[Github] Repository 참여자(Collaborators) 초대 방법
·
Github/기본 환경설정
해당 글의 목적은 Repository 내에서 같이 협력하려는 사람에 대한 초대를 하기 위한 방법이며 이를 위한 환경설정 부분입니다. 1. [Github] ‘Settings’ 탭에서 ‘Collaborators’ 메뉴를 선택합니다 2. [Github] ‘Add people’ 버튼을 누릅니다. 3. [Github] 해당 팝업이 출력되고, ‘github 아이디’ 혹은 ‘이메일’을 검색하여서 ‘Select a collaboartor above’ 버튼을 누릅니다. 4. [Github] 이메일로 초대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였습니다. 꿀팁 Repository가 public 상태인 경우도 사용자 초대가 가능할까? 💡 YES, 초대가 가능합니다. 💡 Public ↔ Private로 각각 바꾸는 상태라도 초대자는 항상 유지..
[Github] Default Branch 설정 방법
·
Github/활용하기
해당 글의 목적은 Repository내에서 여러개의 Branch를 관리하는 경우 메인이 되는 브런치로 Default 브런치를 두어서 소스를 관리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해당 작성글은 이를 위한 환경설정 부분입니다. * 해당 Default Branch 설정은 Repositoy의 ‘소유자’ 일 경우에만 변경이 가능합니다. 1. [Github] Repository의 default Branch와 이외 Branch를 확인합니다. 2. [Github] ‘Settings’ 탭에서 ‘Branches’ 메뉴를 선택합니다. 3. [Github] 변경버튼을 누르고, Default Branch의 Select 박스를 누르면, 현재 Repository에 리스트를 확인합니다.4. [Github] ‘Update’ 버튼을 누릅니다. ..
[Github] Repository 접근권한 변경 방법
·
Github/활용하기
해당 글의 목적은 Repository의 접근 권한을 Public에서 Private으로 변경하거나 private에서 public으로 바꾸기 위한 방법이며, 해당 작성글은 이를 위한 환경설정 부분입니다.  * 해당 접근 권한 설정은 Repositoy의 ‘소유자’ 일 경우에만 변경이 가능합니다. * 해당 환경설정은 Private으로 접근 설정을 하였던 Repository를 Public으로 변경하려는 예시로 작성하였습니다. (Private -> Public)  1. [Github] 변경하려는 Repository로 이동하여, ‘Settings’ 탭을 누릅니다. 2. [Github] 'Setting' 탭의 최하단으로 이동하여 ‘Change visibility’ 버튼을 누릅니다.  3. ‘Make public’이나 ..
[Github] 프로젝트 Github 연결 방법
·
Github/기본 환경설정
해당 글의 목적은 내가 만든 프로젝트를 Github에 연결하여서 Repository 단위로 관리를 하며, 다른 사람과의 협업을 통해서 소스 관리를 하기 위함이며, 해당 작성글은 최초 연결을 위한 환경설정 부분입니다. 1. Github Repository 생성 과정 1. [Github] Github에 접속하여, 메인 페이지에서 'New'를 선택합니다. Github의 Repositoy를 생성한다. 2. [Github] 생성하려는 Repository 정보를 작성하고 'Create repository' 버튼을 누릅니다. Repository 정보를 입력 및 선택하고 ‘Create Repositoy’ 버튼을 누릅니다. 정보 설명 정보 설명 Repository name(*) - 새로 만드려는 프로젝트(Reposito..
[Github] JIRA - Github 연동 환경설정 방법
·
Github/활용하기
해당 글의 목적은 JIRA 내에서 GitHub의 특정 Repository에서 발생한 Commit, Pull Request와 같은 이력에 대해 이슈별로 직관적으로 확인을 할 수 있고 관리를 하기 위함이며, 해당 작성글은 최초 연결을 위한 환경설정 부분입니다.  1) JIRA 내 연결 과정1. [JIRA] 'GitHub for Jira' 다운로드합니다.💡 JIRA 페이지에서 '앱' - '새 앱 찾기' - 'GitHub for Jira'를 선택합니다.  2. [JIRA] 'GitHub for Jira'를 다운로드하면, JIRA 관리자에게 요청을 합니다.GitHub for Jira를 받는다. 받게 되면, JIRA 관리자에게 요청 메시지가 전달되며 '승인'을 받습니다.2) Gihhub에서 연결과정1. [GitH..
[Github] Slack - Github 연동 환경설정 방법
·
Github/활용하기
해당 글의 목적은 Slack내에서 Github의 특정 Repository에서 발생한 Commit, Pull Request와 같은 이력에 대해 Slack으로 메시지를 받을 수 있기 위함이며, 해당 작성글은 최초 연결을 위한 환경설정 부분입니다.   1) [Slack] Slack에서 Github에 연결 할 채널을 만듭니다.1. ‘Add channels’ - ‘Create a new channel’를 선택합니다.  2. 새로운 채널이 생성됨을 확인합니다.   2) [Slack] Slack에서 Apps에 Github 다운로드를 받습니다1. Apps 탭 - 'Add apps'를 누릅니다  2. slack에서 Apps를 ‘Add’ 합니다. 3. 'Add to Slack’ 버튼을 누릅니다.  3) [Slack] Sl..
[JS] ES5 / ES6(ECMAScript 2015) 이해하기
·
Javascript & Typescript/이해하기
해당 글의 목적은 Javascript의 ES5와 ES6에 대한 기능들을 이해하며 사용법을 익히는 목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ES5 / ES6란 무엇인가? 💡 ES(ECMAScript)는 ECMA International이 ECMA-262 기술 규격에 따라 정의하고 있는 표준화된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를 말한다. ECMAScript 버전은 ES1, ES2, ES3, ES5 및 ES6으로 축약이 되었으며, 2016년부터 새 버전의 이름은 연도별로 지정됩니다(ECMAScript 2016/2017/2018). Javascript ES5 ECMAScript 2009는 JavaScript의 첫 번째 주요 개정판입니다 Javascript ES6 ECMAScript 2015는 JavaScript의 두 번째 주요 ..
[JS] 변수(Variable) 이해하기
·
Javascript & Typescript/이해하기
Javascript에 대한 변수를 이해하여, 필요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익힘 ES5와 대비하여서 ES6에서는 const, let 변수가 추가 되었으며,var 변수보다는 const, let 변수를 사용하는것을 '지향'한다. 1) 변수 설명 변수란? 어떤 문자 혹은 숫자, 진위, 배열 등과 같이 하나의 공간에 담아두었다가, 필요할때 꺼내쓰기 위한것을 의미한다. 변수는 문자형, 숫자형, 진위형, 배열형, 객체형 등.. 다양한 변수 공간에 다양한 타입을 넣을 수 있다. // 문자형 (String) var userId = "adjh54"; const userId = "adjh54"; let userId = "adjh54" // 숫자형 (Number) var userAge = 20; const us..